RISK MANAGEMENT
스타트업 리스크 관리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국내 창업기업의 5년 후 폐업률은 66.2%로 나타났으며 폐업률 OECD 3위로서 계획과 달리 생존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스타트업 폐업은 동시에 투자실적이 중요한 GP(운용사)인 벤처캐피탈(VC)들에게도 좋지 않은 성과로 기록에 남게 됩니다. 스타트업 리스크 관리를 통해서 LP(출자자)의 투자금을 보존하고 스타트업의 빠른 결정을 통해서 리스크를 최소화시킬 수가 있습니다.
리스크 식별
- 리스크 식별 : 재무, 운영, 프로젝트, 비지니스, 시장 등 리스크 식별
- 리스크 분석 및 평가 : 리스크 요소를 분석하고 회계사(CPA) 동반 내부 감사 등을 통해 리스크 규모를 판단
- 리스크 완화 : 리스트 대응 전략 이행 및 완화 계획 이행 적용 등 모니터링
관리 프로세스
- 리스크 회피 :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는 모든 활동 중단
- 리스크 개선 : 리스크가 발생할 확률이나 프로젝트 등 개선 진행
- 리스크 공유 : 리스크에 대한 정보를 다른 조직에 공유 및 대책 마련 등 사후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수립

리스크 관리를 통한
기업 가치 창출 활용
재무적 리스크 중심의 관리 수준 이상으로 스타트업의 기업 가치 창출 도구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리스크 관리 정보를 리포트를 발행하여 투자 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분석과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한 대안을 함께 마련하여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기업과 투자사의 목표는 기업 가치 창출에 있습니다.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개선시켜 기업가치를 창출에 집중해야겠지만, 잠재되어있는 리스크 관리를 통해서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 또한 기업 가치를 창출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